1. 지하안전영향평가 등록 화면으로 이동
2. 해당 지하안전영향평가 건에 대한 삭제
3. 해당 지하안전영향평가 건에 대한 활성화
4. 해당 지하안전영향평가 건에 대한 상세 화면으로 이동
5. 해당 지하안전영향평가 건에 대한 위치 지도 팝업
1. 지하안전영향평가 1단계 대상사업의 개요 정보를 입력한다.
2. 모든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 클릭 시 정보를 저장하고 다음 단계로 이동한다.
1. 시설물 관리 – 하단 a) 참고
2. 주변공사현황 관리 – 하단 b) 참고
3. 지하매설관로 관리 – 하단 c) 참고
1. 시추조사를 입력하면 토질현황, 측정지하수위가 입력한 개수 만큼 자동 추가된다.
2. 토질현황 관리 – 하단 a) 참고
3. 측정지하수위 관리 :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단, 추가 또는 삭제 하기 위해서는 상단 시추조사 정보를 변경하면 된다.
4. 설계지반정수 관리 – 하단 b) 참고
▶ 침투해석 탭
1. 설계지하수위산정 관리 – 하단 a) 참고
2. 굴착에따른지하수위검토결과 관리 : 하단 a) 참고
3. 탄성침하량 관리 – 하단 a) 참고
▶ 지하수유동해석 탭
4. 지하수저하량 관리 – 하단 b) 참고
▶ 수평변위검토
1. 단면은 4단계의 해석단면정보에 따라 자동 추가
2. 해당 단면의 굴착깊이 추가
3. 해당 단면, 굴착깊이 한 건만 삭제
▶ 부재응력검토
1. 단면은 4단계의 해석단면정보에 따라 자동 추가
2. 해당 단면의 부재 추가
3. 해당 단면, 부재의 응력 추가
4. 해당 단면, 부재의 응력 모두 삭제
5. 해당 단면, 부재, 응력 한 건만 삭제
▶ 근입장검토
1. 수평변위검토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한다.
▶ 보일링,히빙,파이핑에 대한 검토
1. 부재응력검토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한다.
▶ 수평변위검토
1. 탄소성보해석 탭의 수평변위검토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
▶ 부재응력검토
1. 탄소성보해석 탭의 부재응력검토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
▶ 보일링,히빙,파이핑에 대한 검토
1. 탄소성보해석 탭의 보일링,히빙,파이핑에 대한 검토 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
▶ 시설물
1. 시설물 신규 추가
2. 해당 시설물의 명칭 추가
3. 해당 시설물, 명칭 한 건을 삭제
1. 계측계획 신규 추가
2. 해당 계측계획 삭제
3. 파일 업로드 – 1단계의 파일업로드 방법 참고
1. 조사시기 신규 추가
2. 해당 조사시기 삭제
1. 파일 업로드 – 1단계의 파일업로드 방법 참고
2. 완료 처리 저장 후 목록으로 이동한다.